1. 오리고기
오리고기는 건위(健胃), 기침, 폐결핵, 오리고기가 피를 보충 하므로 없애고, 이뇨, 부종, 어지러움 증 등을 없앤다.
2. 삼백초
약모밀차는 강심이뇨작용, 해독 작용, 세균성 설사, 완화작용, 이뇨작용으로 부종(浮腫)을 내리고 변비에도 효과 있으며, 생잎을 비벼 환부에 붙이면 고름이 잘 나오고 진통이 완화되며, / 차(茶) 代用으로 늘 마시면 어지러움 증, 변비, 동맥경화 등에 좋다.
3. 만형자
蔓荊子(순비기나무열매)는 풍열(風熱)로 오는 두통과 어지러움 증 진정, 진통, 해열, 감기, 수족 오그려 드는데, 시력향상, 항 알레르기등에 쓰이며, 만형자를 달여 마시면, 혈압과 두통, 어지러움 증에 좋다.
4. 고본
고본(藁本)은 고혈압, 풍한두통, 풍한표정, 치통, 창상, 옴 등에 효과 있으며, 혈압을 내려 풍한(風寒)으로 오는 두통으로 인한 어지러움 증에 좋다.
5. 유자차
유자차는 발한, 해열, 소염, 진해, 피부 미용, 숙취, 임산부가 입맛이 없을 때, 감기 몸살에 유자차를 뜨겁게 해서 마시면 몸에서 땀이 나고 열을 내리며, 기침으로 편도선이 부었을 때, 발한과 감기 몸살에 어지러움 증 있을 때와 요통이 심할 때 유자차를 수시로 마신다.
6. 구판(龜板)
남생이배딱지는 신허(腎虛)로 허리와 다리가 약해지는데, 식은땀, 이명(耳鳴), 어지러움, 가슴 두근거림, 유정, 자궁출혈, 치질, 학질, 이슬, 화상(火傷) 등에 쓴다.
7. 현호색
현호색은 어혈, 진통, 생리불순, 구토(嘔吐), 어혈로 생기는 복통, 징가, 적취, 요통, 타박상, 간암,위암, 자궁암, 폐암, 산후 어지러움 증 등에 달임약 알약, 가루로 먹는다.
8. 천마 酒
어지러움, 두통, 비증, 경풍, 전간, 수족이 오그라드는 데, 신경쇠약 등에 쓴다.
9. 연자 酒
교감 신경, 가슴 두근거림, 불안ㆍ초조, 강심, 간장, 소화불량, 정신안정, 빈혈, 어지러움, 불면증, 다뇨ㆍ야뇨ㆍ빈뇨증, 신경쇠약, 비위(脾胃)를 돕고 정신과 기운 돋운다.
10. 여정실 酒
肝과 신장(腎臟)의 陰이 虛하여 어지러움, 이명(耳鳴), 시력, 백발화(白髮化), 신경쇠약, 간 보호,강심, 이뇨. 유정, 백내장 등에 좋다.
11. 남사등 酒
풍습(風濕)으로 뼈마디 통증과 수족(手足)마비, 신경통, 근육통, 타박상, 구토와 복통, 요통, 두통과 어지러움, 양기(陽氣), 신경쇠약, 불면증, 혈행(血行), 무월경, 생리통 등에 좋다.
![](https://blog.kakaocdn.net/dn/eht7n9/btrpjvupS3b/hMGINrnPXwAgQcZkYzWnLK/img.png)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같이 먹으면 안 좋은 식품들 (5) | 2022.01.04 |
---|---|
아삭한 '양배추'가 몸에 좋은 이유 3가지 (2) | 2021.12.29 |
차라리 안 먹는 게 나은 음식 5 (4) | 2021.12.14 |
몸속 궤양 알 수 있는 징후들 (1) | 2021.12.14 |
심장마비 30일 전, 몸이 보내는 7가지 증상 (0) | 2021.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