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다리에 쥐가 나는 이유와 쥐가 날 때 대처법

좋은정보세상 2021. 7. 11. 20:11
반응형

쥐가 난다는 것(cramp)은 의학적으로 국소성 근육 경련이라 하며,주로 의지와 상관없이 근육수축에 의한 경련 증상을 말한다.


증상은 대개 수초에서 수 분간 지속되며, 쥐가 풀린 후에도 통증이 지속되기도 한다.



다리에 쥐가 나는 원인은?

갑작스러운 근육 수축은 혈액 순환 장애, 근육 긴장, 영양과 수분 부족 등으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활동 전 준비운동은 필수적으로 진행하고,체온 유지를 할 수 있고, 혈관을 너무 압박하지 않는 의복을 챙기는 것

이 중요하다.또한, 수분, 영양 부족이 되지 않도록 평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1. 혈액순환장애 너무 꽉 조이는 바지, 레깅스, 압박 스타킹, 양말 등이
혈관을 압박하고, 근육의 이완수축을 방해할 때 날씨가 추운 갑작스런 기온 변화로 혈관이 수축될 때

새벽에 하는 조기 축구, 수영 등 찬 기온에서 활동하는 경우

2. 근육긴장 준비운동이 부족한 상태에서 갑자기 운동할 때 과로, 갑작스러운 운동,
무리한 근육 사용 등에 의한 근육 피로가 누적된 상태일 때 오랜 시간 앉아 있거나 서 있는 등 같은 자세를 오래 유지할 때

3. 영양 및 수분 부족 극단적인 다이어트나 영양부족으로 근육의 수축과 이완에 관여하는 마그네슘, 칼슘 등 미네랄이 부족할 때

설사나 과민성 방광, 카페인 과다 섭취, 과음, 과도한 활동에 따른 땀 과다 분비 등으로
수분이 부족해져 전해질 불균형 상황일 때

다리에 쥐가 났을 때 대처법

쥐가 난 즉 뭉친 근육의 반대 방향으로 근육을 늘리는 스트레칭을 한다.

종아리 근육이 쥐가 난 경우에는 다리를 쭉 펴고, 발등을 몸 쪽으로 당겨준다.

허벅지 근육에 쥐가 난 경우에는 앞쪽 경련은 무릎을 구부려서, 뒤쪽 경련은 무릎을 쭉 펴서 근육긴장을 완화시킨다.

발에 쥐가 난 경우 앞꿈치로 서서 발 근육을 스트레칭 한다.
경련이 사라지면 발을 주물러 준다.

신발, 양말을 벗고 다리를 곧게 뻗어준다.

수분, 전해질을 보충해 준다.

반응형